top of page

팀의 세 가지 유형(피터드러커)


팀을 나누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내가 좋아하고 존경하는 피터드러커는 그의 저서 “실천하는 경영자”에서팀을 크게 야구형팀, 축구형팀, 테니스복식형팀등 3가지로 구분하였다. 다양한 팀 프로젝트를 하면서 이러한 팀 구분을 그대로 활용하기엔 어려움이 있어서 조금 더 현실적으로 현재 우리 나라에서 운영되는 팀유형들과 한번 연결시켜 보았다.


야구형 팀은 말 그대로 팀원의 역할이 고정되어 있어자신이 맞은 역할만을 수행하면 되는 팀으로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형태의 팀 유형이지 싶다.예를 들어 인사팀이라면 채용, 배치, 육성, 성과평가 등등의 업무가 있는데각각의 업무마다 특성이 다르고 하는 일의 성격도 다르다 보니 팀원들이 각자 자신의 주요한 업무가 있어 업무상 논의는 주로 팀장과 소통하고자신의 일을 자신이 책임지는 형태의 팀을 생각해 봤다. 이런팀은 결국 팀으로 일하지만 팀 구성원 개인별로 각자 자신의 일을 책임지는Self-Result Team이라고 할 수 있다.


축구형 팀은 팀원들의 역할이 정해져 있지만 팀플레이를 하는 팀이라고 표현되어 있는데 구체적인 언급은 안되어 있지만 피터드러커의 의도는 야구형 팀과 테니스복식형 팀의 중간 단계가 아닌가 싶다. 보통의 TF팀이 여기에 해당할 수 있을 것 같지만 우리나라의 현실에서는 조금 모호한 측면이 있다.그래서 오히려 축구라는 경기 자체가 갖고 있는 속성을 연상해 봤는데 축구는 결국 골키퍼에서 미드필더를 지나 골게터를 통해 골이 들어가는일련의 프로세스 형태로 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하였다.요즘은 생산현장이 대표적인 운영형태가 아닐까 싶고이런 팀의 속성을 Flow-Result Team 이라고 할 수 있다.​


테니스복식형 팀은 팀원의 역할이 고정되어 있지 않지만기본적인 역할은 가지고 있으며 다른 팀원의 강점과 약점에 따라혹은 상황에 따라 역할이 달라지는 팀으로써 유연성이 극대화된 팀이라고 하는데 TF팀이 여기에 해당할 수 있으며 또한 팀장 포함 팀 인원이 2 ~ 3명 정도인 팀이 이 유형에 해당한다고 본다. 이런팀은 결국 상호간의 팀 다이나믹이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치기에속성상 Interactive-Result Team 이라고 할 수 있다.

조회수 29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