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팀의 유형과 팀장리더십


리더들이 특히 팀장들이 리더십을 현업에서 발휘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크게 세가지 정도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첫번째가 대상이 되는 사람이고 두번째가 그 팀이 갖고 있는 상황과 맥락 또는 분위기그리고 마지막 세번째가 일을 하는 구조, 즉 팀의 구조적 유형입니다.​


먼저 대상이 되는 사람에 대해서는“공자”가 보여줬던 모범이 가장 좋은 사례가 있어 그 내용을 공유를 합니다. 비록 저는 공자의 가르침에 대한 지식이 일천하지만 저의 소중한 친우인 장영지님이 제게 가르쳐준 내용입니다.​


논어 선진편에 나오는 내용인데자로가 공자에게 물었다.

“스승님. 들은 것을 바로 실행해야 합니까?”

공자가 답했다. “부모님과 형님이 계신데 어찌 바로 실행할 수 있겠느냐. 기다리거라.

”이번엔 염유가 물었다.“스승님. 들은 것을 바로 실행해야 합니까?”

공자가 답했다.“그렇다. 들은 것을 바로 실행해라.”​


같은 질문에 서로 다른 대답이 나오자 공서화가 질문했다.“스승님. 자로에게는 ‘부모님과 형님이 계신다.’고 하셨고 염유에게는 ‘바로 행하라’고 하셨습니다. 어떤 것이 맞는지 헷갈려서 감히 여쭤봅니다.


”​공자가 대답했다.“염유는 뒤로 물러난다. 그러므로 그를 앞으로 나아가게 한 것이다.자로는 앞에 나서려고 한다. 그러므로 그를 물러나게 한 것이다.”


두 번째인 그 팀이 갖고 있는 상황과 맥락 또는 분위기에 대해서 도공자와 제자의 또 다른 사례에 저의 생각을 더해서 설명해 보고자 합니다.


자신의 정치적 이상을 이해하고 기용해줄 군주를 찾아열국列國을 주유했던 공자와 제자들,그 여정은 꽤나 험난했는데 진채陳蔡의 접경 지역에서 7일 동안 구금을 당한 일도 있었다. ​식량이 다 떨어져 배고픔에 쓰러지고 병드는 제자들이 생겨났다. 자공子貢이 포위를 무릅쓰고 쌀을 구해왔고, 안회顔回가 흙으로 지은 지붕 밑에서 밥을 지었다. 자공이 물을 떠오다가 안회가 밥을 퍼 먹는 것을 멀리서 보게 되었고, 불쾌한 마음으로 공자에게 이 사실을 일러바쳤다.​


공자가 말했다. “나는 안회가 어질다고仁 믿은 지 오래되었다. 네가 그렇게 얘기하여도 나는 안회를 의심하지 않는다. 무슨 이유가 있었을 것이니 너는 그만하거라. 내가 그 이유를 물어볼 것이니. ”​공자는 안회를 불러 말했다.“내 지난 밤 꿈에서 선인先人을 만났는데 이는 나의 앞길을 열어주고 복을 내려주려는 계시가 아닐까? 네가 짓고 있던 밥이 다 되었으면 가져오너라. 제사부터 지내야겠다.” ​

안회가 대답했다. “아까 밥을 지을 때 그을음 덩어리가 밥솥에 떨어졌습니다. 그대로 두자니 지저분하고 버리자니 아까워서 제가 먹었습니다. 이러한 밥으로는 제사를 지낼 수가 없습니다.”​

공자가 말했다.“그랬더냐? 그런 밥이라면 나 역시도 먹었을 것이다.”


워낙 유명한 이야기인지라 이 내용 자체에 대해 첨언할 내용은 없고 또 제가 여기에 어떤 첨언을 한 다는 것이 적절한가에 대해 조심스럽긴 하지만 '고전이란 해석을 다양하게 할 수 있는 자유로움이 있기에 고전일꺼야' 라는 생각으로 저의 생각을 적어봅니다.​


위의 사례를 보면 크게 세 가지로 나뉘는데 안회가 먼저 밥을 퍼먹는 상황, 자공이 공자에게 안회의 행동을 일러바치는 상황, 그리고 공자가 안회에게 조심스럽게 물어보는 상황입니다.​


제가 관심을 갖는 것은 공자와 제자가 갖고 있는 분위기인데 자공이 자신의 불만을 여과없이 공자에게 표현하고그런 자공에게 공자는 안회를 두둔한 이후조심스럽게 안회에게 밥 먹은 것에 대해 간접적으로 확인을 했을 때 안회는 자신이 했던 행동에 대해 공자에게 가감없이 이야기하였습니다.​


이러한 대화가 매우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는 것은 평소 공자와 제자들간에 위계와 존중은 있지만 서로의 생각을 나눌 만한 분위기와 문화가형성되어 있었기에 가능하다고 봅니다. ​결국 리더십은 어떤 상황에 따른 이벤트라기 보다하나의 흐름이고 맥락이며 분위기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시 봐도 공자는 참 제자들을 아끼는 좋은 스승인 것 같고또 제자들도 공자를 마음으로 좋아했던 것 같습니다.


세 번째가 바로 앞에 언급한 팀이 일을 하는 구조, 즉 팀의 유형에 대한 이야기인데 우리가 보통 현업에서 팀장이 해야 하는 역할을 언급해보면 팀이 가야 할 바에 대한 명확한 지침과 비전을 제시하는 역할, 그 비전에 따라 일할 수 있는 체계와 시스템을 관리는 역할, 팀원들에게 권한과 책임을 위임하는 역할 등은빠지지 않고 언급되는 중요한 역할들입니다.


여기에 품성도 좋고 스스로 솔선수범하는 모습도 보인다면 팀원들 입장에선 최고의 팀장이겠지요.​ 그런데 팀장이 팀을 리딩할 때그 팀의 일하는 방식이 야구형 팀이냐, 축구형 팀이냐,아니면 테니스복식형 팀이냐에 따라 위에 언급한 팀장 역할들의 비중과 농도가 달라질 수 밖에 없습니다.​


조금 생각해 보면 야구형 팀에서는 무엇보다 명확한 역할 분담과 권한과 책임의 위임이 축구형 팀에서는 일의 흐름상 문제가 예상되거나 발생했을 때의 대처가 테니스복식형 팀에서는 팀원들과 일에 대한 지속적인 소통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입니다.


​아이러니한 것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팀원들이 팀장에게 바라는 것 중에는 자신의 역할을 명확하게 해줬으면 좋겠고 권한과 책임을 분명하게 위임해 달라는 요구와 이러한 부분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는 팀원들이 굉장히 많습니다.어쩌면 이것도 우리나라에 야구형 팀이 가장 많아서 그런 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합니다.

조회수 1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bottom of page